Frontend(27)
-
[nestjs error] No repository for "repository" was found. Looks like this entity is not registered in current "default" connection?
🙋🏻♂️ 상황 typeorm-model-generator 를 이용하여 db 테이블을 엔티티로 자동 생성하면서 아래의 에러가 발생했다. No repository for "StudyInfo" was found. Looks like this entity is not registered in current "default" connection? 분명 해당 repository 인 Studyinfo 엔티티는 생성됐는데 왜 이런 에러메시지가 뜨는 것일까. 에러메시지를 확인해보면, current "default" connection 에 해당 엔티티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. 그렇다면 "default" connection 은 어디서 설정을 해둔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. 👋🏻 원인 바로바로 ormconfig.json ..
2021.08.18 -
자바스크립트: 점 표기법과 괄호 표기법 ( dot notation, bracket notation)
점 표기법 vs 괄호 표기법 ( dot notation, bracket notation)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 내부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방법엔, 점 표기법 , 괄호 표기법 2가지가 있습니다. likelion 이란 객체가 있고, 해당 객체의 property 에 접근하는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. let likelion = { number: '9th', member: 21, univ: "pnu" } // 점 표기법 likelion.number // 9th likelion.member // 21 // 괄호 표기법 likelion['univ'] // 'pnu' 아래처럼 두 방법 모두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// 점 표기법 likelion.number // 9th likelion.member // ..
2021.08.05 -
[NestJs 에러] Nest can't resolve dependencies of the Service (?). Please make sure that the argument Repository at index [0] is available in the ResultIoModule
상황: DB의 엔티티를 service 에 추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 에러 로그를 살펴보면, index[0] 위치의 Clsex--Repository가 Module 에서 사용가능한지 확인을 요구하고 있다. 여기서 index[0] 이란 Service 클래스의 생성자에 주입한 첫번째 인자를 뜻한다. 아래 그림을 살펴보면, constructor 내부에 첫번째로 주입된 Repository 를 가리킨다. 해당 레포지토리를 module 에서 사용하려면, (당연히) module 내부에서도 레포지토리를 주입해야 한다. 해결: 해당 app의 Module 내부에서, service constructor 에 주입된 Repository의 Entity 명을 아래처럼 주입해주면 된다. TypeOrm 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래처..
2021.07.23 -
Javascript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 (feat. array)
React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 메서드를 기록했습니다. 현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함수라 숙지해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. 1. split() 함수 string.split(seperator, limit) let arr = 'abc.def'.split('.') arr // ['abc', 'def'] split() 함수는 문자열(string) 을 Seperator 인자를 기준으로 자릅니다. 즉 문자를 분리할 구분자가 seperator 입니다. 분리된 문자열은 배열의 형태로 리턴 됩니다. 위 예시에선 arr 변수에 리턴 된 배열을 할당하였습니다. limit 인자는 리턴 된 배열의 길이 혹은 분할 갯수를 나타냅니다. let arr = 'abc.def.ghi.jkl.mno'.split('.',..
2021.07.22 -
[NestJs, TypeORM 에러] Nest can't resolve dependencies of the "Service"
상황: Contact app의 Controller 와 Service 가 App.module에서도 호출되고 있다. (중복 호출) 원인: 이미 Contact.module 내에서 Contact.Controller 와 Contact.Service 를 명시해줬기 때문에, app.module 에서 중복 호출하기 때문에 dependency 에러가 발생한다. 해결: 아래처럼 controller와 providers 의 dependency 를 지워주자. @Module({ imports: [ContactsModule, TypeOrmModule.forRoot()], // forRoot() 만 써놓으면 알아서 ormconfig.json을 매핑한다. controllers: [], providers: [], }) export cl..
2021.06.09 -
[NestJs, TypeORM 에러] Looks like this entity is not registered in current "default" connection?
상황: NestJs 에서 postgresql 과 연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. 상황2: 아래의 Entity 파일을 db에 연동하지 못한 상황. // contact.entity.ts import {Column, Entity, PrimaryGeneratedColumn} from "typeorm"; export class contact{ @PrimaryGeneratedColumn() id: number; @Column() name: string; @Column() sns: string; @Column() phone: number; @Column() address: string; } 원인: 에러 메시지를 확인하면 No repository for "Contact" was found. , 즉 Contact 레포지..
2021.06.09 -
[recoil] Error: Invalid hook call
문제: useResetRecoilState 를 함수 내 메서드에서 선언했더니, invalid hook call 문제 발생 원인: hooks 는 function component 내부에서만 선언 가능하다. 이번 경우엔, component 영역이 아닌, onInput 이라는 함수 영역 내에서 선언했기 때문에 hooks의 규칙을 위반한다. 해결: component 내부에 useResetRecoilState();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여, onInput() 함수 내부에서 사용한다. 오류 코드 const onInput = (e: React.ChangeEvent) => { const input = e.target.value.toLowerCase(); useResetRecoilState(selectedContact);..
2021.06.08 -
React - netlify로 배포하기 (feat. github)
cra 형태로 github에 push된 리액트 프로젝트를 netflify 에서 배포해보겠습니다. 깃허브 레포에 저장된 react 프로젝트의 폴더 (e.g: src, public ...)가 repository의 최상위에 위치해 있어야합니다. (상위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함) 1. netlify - github 계정으로 가입 2. New site from Git 아이콘 클릭 3. Github 선택 4. 본인 레포지토리에서, 배포하고자 하는 리액트 레포지토리를 선택합니다. 5. 아래의 내용을 기입합니다. 브랜치는 master로 잡습니다. Build command: yarn build Publish directory: /build 6. Production deploys 에서 배포하려는 Production ..
2021.05.26 -
TypeError: Cannot read property 'node' of undefined 에러 해결
상황 react app 폴더를 로컬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옮겼을 때 발생한 문제 에러 메세지 TypeError: Cannot read property 'node' of undefined 해결 node_modules 폴더를 지운 후에 다시 npm install 을 해준다.
2021.05.26